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이버펑크7

[크리에이터] 리뷰 - AI 블록버스터의 신세계 소개 인간적인가, 인간의 적인가 AI 블록버스터의 신세계 리뷰 보는 와중에도 그렇고 끝나고도 느낀 건 설정에 구멍이 많았습니다. AI랑 인간이랑 싸우는데 왜 인간이 일방적으로 패고 있는가가 일단 거슬렸고 LA가 AI 때문에 핵폭탄으로 날아가서 분노한 미국이 유럽과 손을 잡고 AI를 옹호하는 뉴아시아라는 곳을 일방적으로 패는 설정인데(뉴아시아는 지도, 배경상 동남아 같은데 일본어를 쓴다..) 자기들은 AI만 처리한다고 선언해놓고 AI 근처에 있는 건 모조리 학살하고 있습니다.. 남녀노소 뭐든. 미래에 서양인들은 인간성이란 게 퇴화된 걸까요? 또한 다른 나라 영공을 맘대로 떠다니면서 맘대로 군사작전을 합니다. 이 정도면 그냥 그 나라에 AI 다 없애라고 명령하면 될 거 같은데..? 게다가 마지막엔 여자 주인.. 2023. 10. 4.
넷플릭스 [정이] 리뷰 - AI 전투용병 정이 인간으로부터 탈출하라 소개 종말이 닥친 22세기 지구. AI 기술을 개발하는 연구소 팀장이 내전을 끝내기 위한 프로젝트를 이끈다. 자신의 어머니이자 영웅으로 추앙받던 군인의 뇌를 복제하는 프로젝트인데. ​ 리뷰 생각보다 괜찮은 작품입니다. ​ 지금까지 나온 한국의 SF 영화 중 CG를 사용하고도 이만큼 이질감 없다고 느껴지는 작품은 없을듯싶네요. ​ 물론 이질감이 아예 없다고는 말 못 하지만요. ​ ​ ​ 인트로 부분에서의 설명과 세계관은 기동전사 건담이 생각나지만 이어지는 액션과 CG는 정말 꽤나 괜찮습니다. ​ 그 밖의 돈을 들인 테가 나는 세트장이나 소품 하나하나 정말 만족스럽습니다. ​ ​ 일본 황금기 시절의 SF 애니메이션인 총몽, 전술했던 기동전사 건담, 공각기동대들의 세계관이나 기억에 관한 주제 ​ 그리고 영화 .. 2023. 1. 26.
매니아들이 매우 많은 대표 서브장르 6가지 1. 포스트 아포칼립스(Post Apocalypse) ​ 세계 종말을 테마로 하는 장르. ​ 인류 문명이 거의 멸망한 세계관, 또는 그런 세계를 배경으로 삼는 픽션물 ​ 현재는 거의 메인 장르로 봐도 무관할 정도 ​ 대표적인 작품 : 대부분의 좀비물, 매드맥스, 라오어, 메트로 2033시리즈 등 ​ 2. 디스토피아(Dystopia) ​ 유토피아처럼 보이는 세계이지만 개개인이 사회에 억눌려 인간적인 삶을 누리지 못하는 세상 ​ 포스트 아포칼립스와의 차이점이라면 디스토피아는 '통제당하는 전체주의 시대'의 암울한 세계이고, 포스트 아포칼립스는 전쟁 또는 기타 이유로 인해 '문명이 붕괴한 이후'를 다룬다는 차이 ​ 대표적인 작품 : 이퀼리브리엄, 브이포벤데타, 디트로이트 비컴 휴먼, 울펜슈타인, 하프라이프2 등.. 2022. 9. 11.
스팀 [The ascent] 리뷰 ​ 2021년 7월 30일에 스팀에서 출시한 탑다운슈터에 알피지를 끼얹은 디 어센트입니다. ​ 이게 알피지 요소가 제법 강한데, 개인적으로 알피지는 제가 얼마나 그 스토리에 몰입할 수 있느냐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바, 초반구간에 스토리에 전혀 몰입이 안돼서 재미붙이는데 좀 오래 걸렸습니다. ​ 이유인즉슨, 배경이 사이버펑크인데 이 배경에 대한 디테일한 요소들을 먼저 전달하지 않고 퀘스트 NPC들이 뭔가 자기들끼리 전문용어로 쑥덕거리는걸 옆에서 지켜듣다가 이야기를 끝내더니 저한테 대뜸 '이제 알아들었지? 가서 해결하고와.' 이런식으로 이야기가 진행이 되기 때문입니다. ​ 관련한 저 전문용어들은 해당 대화가 끝난 후 코덱스창을 따로 열어서 하나하나 읽어야 그나마 좀 알아들을 수 있습니다만 그마저도 지나치게.. 2022. 8.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