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무기2

[무기] 중세 유럽 둔기에 대한 오해 ​ 둔기는 센 게 맞습니다. ​ 근데 정말 완전히 센건 아닙니다. ​ 특히 도리깨는 정말 쌥니다. ​ 같은 이유로 플레일도 쌥니다. ​ 그런데 왜 검만큼 잘 안쓰였을까요? ​ 왜 판금갑옷 덕지덕지 입은 전장에서 뭣도 안찔리는 검을 난전용 무기로 채택했을까요? ​ 간단합니다. ​ 둔기는 정말 세긴 한데, 결론만 말하자면... ​ 대가리에 맞췄을 때 한정으로 세기 때문입니다. ​ 맞으면 아픕니다. ​ 그런데 아픈 걸로 끝입니다. ​ 주먹에 맞았다고 몸이 멈추진 않습니다. ​ 그런데 창이나 칼, 화살에 맞는다면 출혈 및 근육 수축에 의해 운동활동이 확 줄어듭니다. ​ 더 치명적인 것. ​ 머가리를 맞지 않는 이상 둔기에 맞은 놈은 계속 활동합니다. (노답이다) ​ ​ 갑옷에 더 효과적이다? ​ 애초에 전원이 .. 2022. 8. 26.
[무기] 만병지왕? 아니, 만병지졸 검에 대한 이야기 ​ 판타지 소설을 통틀어 대부분의 주인공들의 무기는 검이었습니다. ​ 그리고 수많은 영웅 서사시들의 주인공들 역시 검을 사용했습니다. ​ 물론 오딘의 창, 궁니르나 제우스의 번개창, 삼국지의 장팔사모, 방천화극, 청룡언월도, 무기는 아니나 상징성으로 먹고 들어가는 룽기누스의 창 등 ​ 유명한 창, 혹은 장병기 없는 것은 아니나, 검에 비하면 딱히 그 비중이 적습니다. ​ 여기서 말하는 '검'은 동양의 '검/도'를 구분하는 검을 뜻하는 것이 아닌, sword라는 카테고리에 들어갈 수 있는 모든 검을 칭하도록 하겠습니다. ​ 그리고 그 검은 사실... 구리다면? ​ ​ ​ 0. 검은 왜 구린가? ​ 사실 검이 무조건 구린 것은 아닙니다. ​ 검 역시 잘 쓰면 강한 건 맞습니다. ​ 특히 로마 군단병의 경우 .. 2022. 8.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