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차이점2

토막상식) 악역과 악당의 차이점 둘은 다른 단어입니다. 소위 둘 다 같은 단어로 오해하는데 겹치는 경우가 많을뿐, 다르죠. ​ 일단 단어부터 보자면. 악당은 영어로 ‘villain’에요. 히어로물의 ‘빌런’ 할 때 그 단어가 맞아요. 얘네는 나쁜놈들 맞아요. 보편적인 도덕 기준으로 기본 살인, 폭력, 강간 등을 가지고 있는 친구들입니다. 조커 = 악당, 안톤 쉬거 = 악당, 사혁 = 악당. ​ 그러면 악역은? 악역은 영어로 ‘antagonist’ 라고 하죠. 굳이 번역하면 악역보다 ‘반동인물’이 맞아요. 고대 그리스에서 나온 배역의 구분에서 주인공(주동인물, protagonist)에 반하는 역이 악역(반동인물, antagonist)이에요. ​ 물론 악역에는 악당이 많은 편입니다. 대부분의 작품이 영웅 서사를 베이스로 진행되기에 ​ 용사.. 2022. 9. 7.
우리나라 웹소설과 라이트노벨의 차이점 [다르다]와 [틀리다]를 유독 구분 잘 못하는 게 우리나라인데 문득 전부터 생각해봤던 두 시장의 차이에 대해 좀 써보려고 합니다. ​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주관이며 예시로든 점들이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냥 이렇구나 라고 봐주시면 될 듯) ​ ​ 첫 번째 차이는 연령대입니다. ​ 주요 소비층이 라이트노벨은 10대, 즉 중학생 ~ 고등학생이 가장 많은 반면에 웹소설은 연령대가 제법 올라서 20 ~ 30대가 많습니다. ​ 물론 10대를 노리는 웹소설도 있고, 이 쪽은 카카오페이지를 주요 타겟층으로 하죠? ​ 일본도 똑같습니다. ​ 2, 30대를 노리는 타깃층의 수요도 당연히 존재하고 있습니다. ​ 하지만 가장 핵심이 되는 주요 소비층의 연령대가 10살 가까이 차이나는거죠. ​ 이게 핵심입니다. ​.. 2022. 8.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