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비교3

라노벨이랑 웹소랑 거기서 거기라고 하는 이유 본질이 닮아서입니다. ​ 라노벨에서 대다수가 극혐하는 ​ '헤에에엣!' 같은 엿같은 의성어 빼고 라노벨이랑 우리나라 웹소는 이미 상당히 많은 감성을 공유중에 있습니다. ​ ​ 1. 주인공 빨아주기 ​ 주인공쿤 스게에에엣!!! ​ 을 뇌빼고 쓴 게 라노벨이면, 그걸 조금 더 포장해서 ​ '물을 쉽게 마시는 방법은..., 천천히 한 번에 넘겨 마신다!!' ​ 같이 살짝 포장한 게 우리나라 소설입니다. ​ 기저에 깔린 감성이 일본은 '아무것도 안 해먹고', 이면 우리나라는 '타고난다' 또는 '노력이라도 한다' 또는 '회귀로 이득을 얻고 시작한다' 등으로 포장된거죠. ​ 이 본질이 이미 닮아있습니다. ​ ​ 2. 캐빨 ​ 라노벨은 2000년대 초반에 하루히가 대성공하면서 캐빨 시장이 되어버립니다. ​ 캐릭터의 .. 2022. 8. 26.
[네이버 애드포스트] & [구글 애드센스] 한달 수익 비교 저는 취미 및 생각을 적을겸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현재 운영하고 있는 블로그는 총 2개인데, 하나는 네이버 블로그 또 하나는 티스토리를 사용하고 있네요. ​ 처음시작은 그냥 글을 쓰면서 저장용도로 사용하다 사람들 방문하는 걸 보는게 재미도 있고 해서 꾸준히 운영하게 되었습니다. ​ 그러다 우연히 블로그에 광고를 낼 수 있는 시스템을 알게되어 그냥 한번 해볼까 하는 생각에 신청해보았고 올해 11월달에 승인을 받게 되었습니다. ​ ​ 애초에 수익에 관해 생각 안하고 시작한거라 별다른 기대는 안했지만 그래도 이러한 걸로도 돈이 나온다는게 신기해서 한달동안 어느정도 수익이 나오는지 좀 적어 보았습니다. ​ 먼저 네이버 같은경우에는 구글보다 아무래도 이용자 수가 많다보니 제 블로그에 찾아오시는 분들이 .. 2022. 8. 14.
우리나라 웹소설과 라이트노벨의 차이점 [다르다]와 [틀리다]를 유독 구분 잘 못하는 게 우리나라인데 문득 전부터 생각해봤던 두 시장의 차이에 대해 좀 써보려고 합니다. ​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주관이며 예시로든 점들이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냥 이렇구나 라고 봐주시면 될 듯) ​ ​ 첫 번째 차이는 연령대입니다. ​ 주요 소비층이 라이트노벨은 10대, 즉 중학생 ~ 고등학생이 가장 많은 반면에 웹소설은 연령대가 제법 올라서 20 ~ 30대가 많습니다. ​ 물론 10대를 노리는 웹소설도 있고, 이 쪽은 카카오페이지를 주요 타겟층으로 하죠? ​ 일본도 똑같습니다. ​ 2, 30대를 노리는 타깃층의 수요도 당연히 존재하고 있습니다. ​ 하지만 가장 핵심이 되는 주요 소비층의 연령대가 10살 가까이 차이나는거죠. ​ 이게 핵심입니다. ​.. 2022. 8.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