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스토리2

'스토리가 좋다'라는 기준이 뭡니까? 영화로 한정하고 싶지만 뭐 기준이, 특징이 이거라고 예를들어 말할수 있으시면 다른 컨텐츠도 상관없습니다. ​ ​ 영화로 한정하자면 저는 이렇습니다. ​ '당신이 가장 필요로 하는것은, 당신이 가장 보고싶지 않은 곳에서 발견된다.'라는 기준에 충족하는 플롯입니다. ​ 분석심리학자 칼융의 사상같은 거에요. ​ 간단하게 말하자면 나는 세상이 싫어. ​ 그런데 그 이유는 세상이 싫어서가 아니라 내가 세상에게 사랑받지못한다는 질투때문에 그랬던 것, 그런겁니다. ​ 그런 ' 정서적 깨달음 '을 전하는 스토리가 좋습니다. ​ 깨달음이란 깨닫기 전에는 몰라야하는것이죠. ​ ​ 임상심리학자 조던피터슨은 심리학을 처음 배우며 난해했던게 '나의 주인은 내가 아니다'라는 개념이었다고 합니다. ​ 깨달음을 얻는다는것은 내가 나.. 2022. 9. 3.
스토리에서 캐릭터를 만드는 법에 대하여 드라마를 종종 보는편인데... ​ 유튜브 영상보다가 '왜 이렇게밖에 캐릭터를 못만들지?'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 김범씨가 아버지 유품이라는 소리를 듣고 보여달라고 하잖아요. ​ 그 다음에 3500만원짜리 시계 줄테니 유품을 달라고 합니다. ​ 시계 판매자에게 아버지에 대한 사랑을 선택할건지, 물질적인 이익을 선택할건지 딜레마에 빠지게 합니다. ​ ​ 그런데 아버지 유품이라는 소리를 듣고선 표정이 어둡고 서글프게 변해야해요. ​ '그런 의미의 시계인줄 몰랐네, 미안해요. 한번 보여줄수 있어요?'라고 말해야, ​ 싸구려라고 즉흥적으로 판단해버린 자신의 태도를 반성하는구나 느끼는겁니다. ​ 그 다음에 '이거 나 줘요, 대신 내가 사려던 시계 줄게'라고 다시 웃으면서 말해야 캐릭터가 입체적입니다. ​ ​.. 2022. 9.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