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장르소설43 [장르소설] A 작가 좋아하는데 작품 추천해달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 1. 로유진 좋아함 -> 목마 추천 둘의 공통점은 확실합니다. 하렘 성향 + 씹덕 감성 + 주인공 뽕맛. 이 공통분모가 워낙 겹치는 데다가 둘 다 조아라 출신이라 그런지 은근 감성도 비슷한 편. 대부분 저 둘은 세트에 가깝더라. 근데 역은 성립 안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로유진의 하렘은 목마에 비해 좀 과한 편이거든요. 2. 던전디펜스 인생작 -> SSS급 자살헌터, 어서오세요 실력지상주의 교실에 실지주는 아예 라노벨이고, 스자헌도 사실상 웹소의 탈을 쓴 라노벨입니다. 던디에서 보통 주인공 흑막뽕에 취한 애들은 실지주 쪽으로 가고, 던디에서 주인공 연설뽕에 취한 사람은 스자헌 쪽으로 가면 됩니다. 이건 역도 성립합니다. 3. 정구 작가 좋아함 -> 성상현.. 2022. 8. 28. [고찰글] 작품성에 대한 논의는 항상 창작계에선 나올 수 밖에 없는 내용임 영화 조커, 기생충의 스포가 있음. 주의하길. 이건 뭐 창작계에선 항상 나올 수밖에 없는 얘기고, 어떻게 보면 웹소설 시장이 그만큼 커졌다는 얘기기도 합니다. 창작계에서 항상 새로운 장르, 또는 새로운 분류가 튀어나올 경우 사람들은 그걸 분류하고 싶어하고, 자신이 느낀 재미에 대해 정확하게 묘사하고 싶어합니다. 하나는 인간이 [사회적인 동물]이기에 자신이 느낀 감정을 남과 공유하고 싶어하는 감정이고, 또 하나는 [미지에 대한 두려움]에서 오기 때문에 자신이 느낀 재미에 대해 정의하고 싶어함입니다. 예를 들어 요즘 핫한 힙합에 대해 얘기해본다고 칩시다. 여러분들은 힙합이 예술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나요? 이거에 대해선 여러 의견이 많을겁니다. '힙합이 무슨 예술이냐. 그냥 말장.. 2022. 8. 27. 느와르는 깡패 나오는 영화가 아닙니다 누가 '국산 느와르는 왜 다 뒤졌을까?'라는 쓴 글을 보다 댓글들 보고 경악했습니다. 죄다 '깡패나 야쿠자, 마피아는 시대랑 잘 안 맞으니깐'이라고 쓰는거 보고 진짜 가슴이 아프더라... 저는 영화팬이고, 그중에서도 특히 '느와르, 스릴러, 피카레스크' 장르를 정말 사랑하는 사람으로서 여러분들이 느와르란 장르에 대해 가지고 있는 오해를 좀 풀고자 이렇게 길게 씁니다. 제발 느와르 많이 아껴줘라... # 제일 아래에 요약 적어놨습니다... ## 그래도 볼드체랑 색깔 있는 글자는 읽으면서 내려가길 권함. 1. 느와르란 무엇인가? 느와르는 프랑스어로 '검다(Noir)'라는 뜻입니다. 이 장르는 어떻게 공식적으로 만들어진 장르는 아니고, 어디까지나 평론가들이 장르를 분류해.. 2022. 8. 27. [고찰글] 하렘물 메인 히로인은 처음부터 정해져있음 순애물이면 히로인이 어떤 유형의 캐릭터이든 별 상관없습니다. 근데 하렘물인 경우, 메인 히로인이 되기 위해선 네 가지 요소가 필요합니다. ①②③④ 로 표시하겠습니다. 일단 ①처음 등장할 때, 예쁘다는 묘사와 함께 심쿵했다는 묘사가 은근히라도 들어가 있어야 합니다. 이성적 호감을 느꼈다던지 외모때문에 잠깐 넋이 나갔다던지 이런 은근한 묘사 말이죠. 처음부터 노빠구로 반했다 하는 게 없는 건 아니지만 적으니까 예외로 친 거. 또한 ②그 여캐는 남주를 처음 만났거나, 만났어도 한참 나중에야 기억할 정도의 미약한 만남이고 그 ③여캐가 남주에게 관심을 아예 주지 않거나, 혹은 어느 정도 '흥미' 만을 느껴야 합니다. 호감은 안 되고 뭐 아주 미약한 정도까지는 괜찮. 이게 중요한.. 2022. 8. 27. 이전 1 2 3 4 5 6 7 ··· 11 다음 728x90 반응형